2026년 최저임금이 드디어 시간당 10,320원으로 확정되었습니다. 올해보다 290원(2.9%) 인상되며, 주 40시간 기준 월급으로 환산 시 2,156,880원(세전)입니다.
하지만 중요한 건 ‘실제 내 통장에 찍히는 돈’이 얼마인지 아는 것이겠죠?
이 글에서는 2026년 최저임금 월급 실수령액, 주휴수당 포함 여부, 4대 보험 공제 후 실제 받는 돈, 알바생과 직장인별 차이까지 자세히 풀어드립니다.
✅ 2026년 최저임금 얼마로 결정되었나요?
2026년 최저임금은 시간당 10,320원으로, 올해(10,030원)보다 2.9% 인상되었습니다. 월급으로 환산하면 주 40시간, 월 209시간 기준으로 2,156,880원(세전)입니다.
이번 결정은 17년 만에 근로자·사용자·공익위원의 노사공 합의로 이뤄졌으며, 2026년 1월 1일부터 적용됩니다.
✅ 월급으로 환산하면 얼마인가요?
계산은 간단합니다.
10,320원 × 209시간 = 2,156,880원 (세전)
여기에는 주휴수당이 포함되어 있으며, 주 15시간 미만 근로 시 주휴수당이 적용되지 않으니 주의하세요.
💡 내가 실제로 받을 돈은 얼마일까요?
같은 시급이라도 4대 보험, 주휴수당, 근로시간에 따라 실수령액은 다릅니다.
✅ 4대 보험 공제 후 실수령액은 얼마인가요?
세전 월급 2,156,880원에서 4대 보험을 공제하면 실제로 받는 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.
- 국민연금: 약 97,060원
- 건강보험: 약 70,930원
- 장기요양보험: 약 8,710원
- 고용보험: 약 21,570원
총 공제액: 약 198,270원
예상 실수령액: 약 1,958,610원 정도로 예상됩니다. (근로 형태,
가족 여부, 야간·연장 근로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.)
✅ 주휴수당과 주휴시간, 헷갈리지 마세요
주휴시간은 주 15시간 이상 근로자가 주 1회 유급휴일을 받는 것이며, 이때 받는 돈이 주휴수당입니다.
예를 들어 주 5일(1일 8시간) 근무 시 주휴수당은 8시간분 시급이 추가되어 10,320원 × 8시간 = 82,560원/주가 발생합니다.
주휴수당은 월급 계산 시 포함되지만, 주 15시간 미만 근무자에게는 지급되지 않습니다.
✅ 수습기간에는 최저임금을 덜 받나요?
근로기준법상 수습기간 3개월 이내에는 최저임금의 10%를 감액하여 지급하는 것이 ‘가능’합니다.
따라서 최대 10% 감액된 9,288원(시간당) 지급이 가능하지만, 다음 조건이 있습니다.
- 무기계약(정규직)에 한해 적용 가능
- 1년 미만 계약, 일용직, 단기 알바에는 감액 불가
- 근로계약서에 반드시 표기되어 있어야 유효
대부분 사업장은 수습기간에도 100% 지급하는 경우가 많으니, 근로계약서를 꼭 확인하세요.
✅ 자주 묻는 질문(FAQ)
Q. 2026년 최저임금 언제부터 적용되나요?
2026년 1월 1일부터 적용됩니다. 2025년 12월 31일까지는 올해 기준이 적용됩니다.
Q. 주휴수당이 포함된 금액인가요?
월 209시간 기준으로 주휴수당이 포함된 금액입니다.
Q. 수습기간에는 최저임금의 몇 %를 받나요?
최대 10% 감액하여 9,288원 지급이 가능하지만, 조건이 충족될 때만 가능합니다.
Q. 이 금액이 고정인가요?
아닙니다. 4대 보험, 가족 여부, 야간·연장 근로, 주휴수당 여부 등에 따라
실수령액이 달라집니다.
✅ 마무리
2026년 최저임금 인상으로 월급이 오르지만, 실수령액을 미리 확인해 생활비·저축 계획을 세워두는 것이 중요합니다. 알바생, 직장인 모두 근로계약서 작성, 주휴수당, 4대 보험 공제 여부를 꼭 확인해 불이익을 방지하세요.